흔히 길을 이어준다고 하여 다리라고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합니다 이것을 조금 더 전문적으로 표현을 하자면 교량이라고 이야기를 한데요 흔히 국내에서는 볼 수 있는 곳들은 행주대교, 성산대교 이런 것들이 있습니다 이런 교량에 대한 시스템을 이해를 하면 실생활에서 유용은 하지 않더라도 아는 것에 대한 재미는 느낄 수 있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교량

국내 말고도 해외에서는 bridge라는 카테고리에 놓는다

해외에 비해서 우리나라는 이런 교량이 많이 없기도 합니다 대부분 수도권에 위치를 하고 있고 강을 건너는 용도로만 사용을 하기 때문이죠 국내에서는 이런 큰 강이 지나가는 곳들에만 교량이 위치를 하기 때문에 해외에 비하면 그렇게 많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반면 해외에서는 이 브리지에 대한 종류가 진짜 많이 있는데요 그 종류만 하더라도 10개가 넘게 있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 슬래브 브릿지
  • 거더교 브릿지
  • 트러스 브릿지
  • 아치형 브릿지
  • 리그리드 브릿지
  • 현수교

몇 가지만 살펴봐도 이정도가 되겠습니다 대부분 우리나라에서 발견을 할 수 있는 브릿지의 종류이기도 합니다 일반인들은 차량을 통해서 또는 도보를 통해서 건너가기만 하였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또는 어떤 구조로 되어 있는지 이해를 하지는 못 합니다 그 만큼 우리 생활에서 익숙하다는 이야기죠 전혀 불편함을 느끼지도 또는 걱정이 되지도 않습니다

그 만큼 교량 즉 브릿지는 섬세하고 튼튼하게 만들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우리가 안심하고 건너게 되는것이죠 이 브릿지에는 총 3가지가 있는데요 상판과 교각 그리고 교대 이렇게 나뉘게 됩니다 상판은 우리가 다리를 건너게 될 때 실질적으로 밟게 되는 지면과 연결된 곳을 의미를 하게 되며 교각은 땅 밑으로 쭉 뻗은 기둥을 의미를 합니다 솔직히 다른 것은 몰라도 상판과 교각만 알면 교량의 50% 알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이 2개의 작업은 정말 오래 걸립니다 짧게는 몇 년에서 길게는 10년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렇게 기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는 것은 브릿지는 어떤 물건들이 건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건너기 때문에 안전해야 하고 매일 수천 수 만대의 차량이 지나가기 때문에 튼튼해야 됩니다 이런 부분을 충족을 시키려면 한 개의 기둥을 만들 때 마다 검수를 하는 작업이 2배 3배 걸리기 때문이죠

물론 어떤 다리라고 하여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사용하지 못 하는 때가 옵니다 지금은 전문가들이 매일 점검을 하며 크랙이 있는지 또는 안전상의 문제가 없는지 검사를 하고 있지만 예전에는 그렇지가 않았습니다 이 교량에 대한 지식이 그렇게 깊지 않아서 그런 것이죠 그리고 또 하나는 예전에는 무거운게 지나간다고 하여도 마차 또는 말을 타고 건너게 되는데 이제는 어떻죠? 트럭과 자동차를 타고 건너게 됩니다 그 무게가 100배 이상은 증가를 했다는 이야기입니다

교량은 꽤 긴 시간동안 유지가 됩니다

그렇다고 너무 걱정을 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교량을 유지를 하는 시간은 생각보다 적어도 50년 이상은 되기 때문이죠 그리고 중간에 문제점이 있다고 하여도 사전적으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고 항상 점검을 하는 부서가 따로 있습니다 여러분들이 이용을 하는데 있어서 걱정을 1%라도 주지 않도록 모든 국가들이 책임을 지며 보강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실용적으로 건너게 되는 브릿지 이외에도 예술적인 감각으로 만들어진 다리들도 있는데요 이는 100% 사람들만 건널 수 있게 하는 다리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충남예당에 위치한 출렁다리가 있고 분명 이름은 현수교라고 하는데 사람들이 시각적으로 밤에 와서 볼 수 있는 그런 예술적인 면모로 만들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만든다고 하여서 긍정적이 효과가 있을까요? 저는 개인적으로 크다고 봅니다 대부분 국내에서 축제를 연다고 하면 가장 떠오르는 곳이 어디일까요? 한강 근처 입니다 이 한강이라는 곳의 주변의 부지들은 다른 곳에 비해서 10배 이상 경제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게 되는데요 당연히 사람들이 몰릴 수 밖에 없는 구조다 보니깐 이런 심미적인 효과에 대한 가치를 둘 수 밖에 없는 것이죠

Categorized in: